-
주린이를 위한 Step.5 ETF vs 개별종목 어디에 투자해야할까?주식 정보/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2021. 3. 5. 16:46반응형
ETF란?
ETF (Exchange Traded Fund)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시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ETF는 펀드와도 많이 비교됩니다.
펀드 같은 경우에는
은행에가서 직접 신청을 해야하며
상담직원과 이야기를 한 후
추천을 받아서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ETF보다 수수료도 더 비쌉니다.
하지만 ETF는 주식처럼
사고팔기가 쉬우며 펀드보다 수수료도
더 저렴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중인
ETF 종류입니다.
시가총액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KODEX 200, TIGER 200
국내 투자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고
수익률도 높은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개별종목과 ETF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개인투자자가 200종목에 분산해서
투자가 가능할까요?
투자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ETF는 가능합니다.
또한 현재 국내주식 매도시 0.25%
거래세가 부과되는데 ETF는 거래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ETF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과 관련해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ETF는 거래세를 내지 않지만
매매차익과 관련해서 ETF 종류에 따라서
배당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 발생 시
비과세로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KODEX 200은 삼성자산운용이 만든
코스피 200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ETF이고
TIGER 레버리지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만든 코스피 200 지수를
2배 추종하는 ETF 입니다.
레버리지 만큼이나 가장 많이 거래되는 건
ETF 중의 하나가 인버스 입니다.
KODEX 인버스의 역방향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코스피가 1% 상승하면 인버스는 1% 하락합니다.
인버스는 주로 헤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식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지수가 하락할 가능성이 보인다면
주식비중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주식비중을 유지한 채 인버스 ETF를 매수해
하락을 방어하는 전략(헤지)를 활용 할 수 있습니다.
개별종목 같은 경우에는
대형주 : 삼성전자,카카오,현대차...등등
소형주 : 인터파크,동방,이화전기...등등
나눌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개별종목은
본인이 직접 공부도하고 계속 포트폴리오를
바꾸면서 전략을 짜야합니다.
일단 직장인이나 주식공부에
시간을 쏟기 어려우신분들은
개별종목보다는 ETF를 추천드립니다.
ETF같은 경우는 운용사에서 관리해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어느정도 있고
내가 원하는 기업에 직접투자를 하고 싶으신 분들은
ETF보다는 개별종목을 하시는게
더 많은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 정보/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 주린이를 위한 Step.1 시가총액이란 무엇일까요? 투자시 중요한가요?
[주식 정보/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 주린이를 위한 Step.2 보통주와 우선주는 무엇이 다른가? 차이는?
[주식 정보/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 주린이를 위한 Step.3 주식 폭락장에서 주도주 찾는 방법
[주식 정보/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 주린이를 위한 Step.4 IPO(기업공개)는 무엇이고 진행절차는?
반응형'주식 정보 > 주린이를 위한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를 위한 Step.7 테이퍼링(페이퍼링) 용어 정리! 국내주식 영향은? 주가폭락? (0) 2021.06.01 주린이를 위한 Step.6 OEM vs ODM 어떻게 다른가? (1) 2021.03.25 주린이를 위한 Step.4 IPO(기업공개)는 무엇이고 진행절차는? (0) 2021.02.27 주린이를 위한 Step.3 주식 폭락장에서 주도주 찾는 방법 (1) 2021.02.24 주린이를 위한 Step.2 보통주와 우선주는 무엇이 다른가? 차이는? (0) 2021.02.24